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 수정일
- 2025-02-11
배경/목적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은 한국인에게 흔한 만성 질환의 위험요인을 규명하여 맞춤·예방의학 구현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수행하는 코호트 사업입니다.
- ※ 코호트란 고대 로마 군대의 한 단위를 가리키던 말로, 역학에서 쓰이는 정의로는 어떤 특성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말하며 이들을 장기 추적하여 질병의 발생 요인을 밝히는 연구를 코호트 연구라고 합니다.
- 2001년 부터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참여자를 모집하여 약 23만 5천명의 대규모 코호트를 구축하고 건강 및 생활습관 관련 설문조사와 검진을 수행하고, 혈액, 소변, DNA 등의 인체유래물을 수집하였으며, 현재 새로운 질병발생과 생활습관 변화에 대한 추적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사업 수행체계
- KoGES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역학과와 전국 의과 대학 및 의료기관이 협력하여 수행하고 있습니다. 조사 수행기관은 참여자를 모집하여 동의서를 구득한 후 설문조사와 검진을 통해 역학·임상정보와 인체유래물을 수집합니다. 유전체역학과에서는 조사단계의 자료 질 관리 및 수집 후 심층자료 정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사 및 검진, 채혈 등 전 과정에 걸쳐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고품질의 자료와 인체유래물을 연구자들에게 분양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
조사수행기관 : 유전체역학과는 조사수행기관에 사업발주, 조사수행기관은 유전체역학과에 산출물제출
- 참여자 모집
- 동의서 구득
- 설문조사
- 검진 실시
- 인체자원수집
- 데이터 입력
-
유전체역학과 : 유전체역학과는 연구자에 역학자료 분양, 연구자는 유전체역학과에 역학자료 신청
-
사업관리
- 사업 계획
- 사업 지침 개발 및 시행
- 사업 진행 상황 관리 및 운영
-
품질관리
- 조사원 표준화 교육
- 인체자원 표준화 프로토콜 개발
- 코호트 현지점검
- 전문가 회의운영
-
데이터관리
- 데이터 품질관리 지침 개발 및 시행
- 코호트 역학정보시스템 개발, 운영 및 관리
- 개인정보보호 지침 개발 및 시행
- 설문지 및 입력 데이터 검수
- 기 수집 데이터 오류 점검 및 클리닝
-
연구자
추진내용
-
1단계
- 2001 '보건의료기술진흥사업'으로 유전체역학조사사업의 예비조사 실시
- 2001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 참여자 모집 시작
- 2003 '유전체역학조사연구사업의 전략, 방향성 정립' 연구 수행
-
2단계
- 2005 코호트 조사 대상 집단 다변화와 기반 규모 확대
- 2005 코호트 조사 자료 입력 시스템 운영 및 생체시료 관리지침 개발
- 2005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 수집자료 공개 및 분양 시작
-
3단계
- 2009 코호트 조사 표준화 강화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 정비 및 CAPI 조사 도입
- 2011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 참여자 대상 노화 심층조사 시작
-
4단계
- 2015 코호트 자료 활용도 증대를 위한 연구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 2019 코호트 자료 접근성 제고를 위한 원격접속 분석지원 서비스 제공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국립보건연구원 저작물은“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