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여성의 건강 증진 및 질병예방・관리를 위한 연구기반 구축과 과학적 근거 창출을 목표로 여성 생애주기별(가임기, 임신・출산기, 갱년・폐경기 등) 건강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고, 여성 특이적인 질환 및 건강상태 연구, 질환 발생에서의 성별차이 규명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내용
-
여성건강연구사업을 통해 구축·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코호트·레지스트리로 한국 간호사건강연구 코호트, 극소저체중출생아 레지스트리, 갱년기 여성건강 코호트가 있습니다.
-
‘한국 간호사건강연구(Korea Nurses’ Health Study, KNHS)’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만 20∼45세 한국인 여성 간호사 대상의 웹기반 설문조사 코호트 연구입니다. 2013년 20,613명을 대상으로 기반조사를 완료하고 현재까지 추적조사를 수행 중이며, 2022~2024년에는 20대 간호사 5,116명을 추가로 신규등록하였습니다. 설문항목은 인구통계, 생활습관, 질병력, 약물력, 가족력, 여성건강, 생애 임신, 감정, 직장, 직업적 노출, 건강 인식 등입니다.
-
‘극소저체중출생아 레지스트리(Korean Neonatal Network, KNN)’는 고위험 신생아 집중치료의 질 향상과 효율적인 치료관리기술 개발을 위한 등록 사업으로, 2013년 80개 이상의 병원이 참여하는 전국적인 임상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출생체중 1,500g 미만 또는 임신나이 32주 미만의 미숙아 전수의 80% 이상을 등록하고 있으며, 퇴원 후 만 1.5세 및 만 3세에 추적조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갱년기 여성건강 코호트는 국내 중장년층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 단계 변화에 따른 시계열적 신체 및 정신건강 상태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2014~2018년에 만 42∼52세의 폐경 전 및 폐경 이행전기 여성 약 5,000명을 대상으로 기반조사를 완료하였으며, 현재까지 추적조사를 수행 중입니다. 수집항목은 인구학적 특성, 생활습관, 질환력, 여성력, 폐경 증상 및 삶의 질에 관한 설문자료와 생체자원 및 골밀도, 유방촬영, 자궁경부 검사, 부인과 검사 등 여성특화 임상검사항목 등입니다.
-
비정상체중여성 식행동 이상, 여성 생애주기별 건강인식조사(Korean Study Of Women's Health Related Issues, K-Stori) 및 성·생식건강조사와 건강연구 등의 조사연구사업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
‘비정상체중여성 식행동 이상과 건강연구’는 정상 및 비정상체중 여성을 대상으로 식행동 이상을 파악하고, 식행동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임상적 영향 파악을 위해 2016년 만 18~39세 가임기 지역사회 여성(659명)과 식행동 이상장애 환자군(100명)을 대상으로 단면조사를 수행하였습니다. 조사내용은 생체시료 검사 및 이화학적 검사, 내분비계 이상(호르몬 등) 검사, 신체계측(키, 몸무게, 체성분) 및 건강행태 등 비정상체중의 매개요인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입니다.
-
‘여성 생애주기별 건강인식조사(K-Stori)’는 우리나라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인식 및 주요이슈 발굴을 위해 2015~2016년에 1차 조사를 수행하였습니다. 조사 대상자는 청소년기, 가임기, 임신·출산기, 갱년·폐경기, 노년기 각 생애주기 단계별 3,000명씩 총 15,000명이며, 조사항목은 건강상태, 건강인식, 정신건강, 생식건강, 건강행태, 여성의 역할과 지위, 사회적 환경, 미충족의료 등입니다.
-
‘여성 생애주기별 성·생식건강조사’는 우리나라 여성의 생애주기별 성·생식건강 현황 및 주요 이슈 발굴을 위해 2022년 전국단위의 5,567명(청소년 1,019명, 성인 3,533명, 노인 1,015명)을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수행한 바 있으며, 조사내용은 월경경험과 인식, 임신 및 폐경 관련 경험, 피임 인식 및 실천, 성 매개 감염질환 등입니다.
-
국가 수준의 표준화된 여성건강 통계를 주기적으로 산출하고,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수준과 주요 건강문제 등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 2014년부터 2년 간격, 2020년부터 3년 간격으로 여성건강통계집 ‘수치로 보는 여성건강’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
‘수치로 보는 여성건강’ 통계집은 건강보험청구자료, 국민건강영양조사, 출산력실태조사, 고령화패널 등 국가 통계자료와 패널조사 등 대표성 있는 원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건강영역(건강수준, 만성질환, 재생산·성건강, 건강행태, 정신질환, 의료이용 등)에서 우리나라 여성의 건강현황을 집약적으로 분석·제시하고, 사회경제적 특성과 젠더지표를 종합한 여성건강 통계결과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또한, 여성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개발의 과학적 근거 제시를 위하여 여성의 건강현황 파악 및 위험요인 발굴, 만성질환 발생 간의 연관성 및 남녀 간의 성별차이 분석 연구를 수행하여, 2024년 12월까지 총 180편의 연구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 관련 홈페이지
-
- 문의
- 유전체역학과, 043-719-6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