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질환 특화 신체 주요 부위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맞춤형 질환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의료기관과 연계하여 연구수행 표준화 방안 및 인프라 구축, 임상적용 가능한 진단법․치료제 개발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내용
(표준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있어 임상정보 및 검체의 수집에서 데이터 분석까지 모든 과정에 대한 표준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습니다.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사업 운영 가이드라인」발간 (발간등록번호: 11-7190423-000165-01)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사업 운영 가이드라인
표준화된 유전체 데이터 생산을 위한 분석 컨소시움의 구축과 생산된 유전체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정도관리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임상정보 및 유전체 정보의 수집과 활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다양한 분석 툴을 제공하여 활용할 수 있는 통합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홈페이지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통합 데이터베이스
멀티오믹스 기반의 분석기술을 적용하여 대사 및 신호전달 경로분석과 질병 예측 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빅데이터 통합 프로토콜 개발 연구를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 임상 메타데이터 정보의 제공기술과 마이크로바이옴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활용 프로토콜, 통계 분석 패키지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임상적용)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결과의 임상 활용을 위한 기반 연구로서 생애주기에 따른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아틀라스 구축, 한국인 분변 내 주요 균종의 선정과 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NGS panel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분변내 대사체의 측정 검사법을 표준화하여 확립하고 이를 임상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치료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치료제 개발과 관련하여 장내 감염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LBP 개발 연구, 공생 미생물균주(단일/혼합)를 활용한 난치성 감염 질환 치료제 개발, 식이 및 프리바이오틱스를 활용한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난배양성 미생물 분리․배양 기술 확립을 통해 신종 미생물 및 치료 후보물질 발굴을 위한 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역량강화)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연구자의 질적·양적 연구역량의 제고 및 연구 수행 표준화를 위한 표준화 가이드라인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사업 참여 연구책임자 및 실무자 대상으로 기초 및 심화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운영 가이드라인에 따른 검체 수집 표준화 방안, 마이크로바이옴 메타오믹스 기초, 임상정보 및 검체 수집·기탁 방안, 유전체 데이터 분석 및 해석, 분석 소프트웨어 활용법 등에 대한 이론 및 실습 교육을 수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