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보도참고자료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250123 보도참고자료]국내 임상 연구 정보 한 눈에, 임상연구정보서비스(CRIS) 1만 건 등록 돌파
  • 담당부서바이오빅데이터과
  • 연락처043-249-3072
  • 수정일2025-02-27
  • 조회수135

국내 임상 연구 정보 한 눈에, 임상연구정보서비스(CRIS) 1만 건 등록 돌파


WHO 지정 연구 등록 정보 공개 시스템, 공개된 연구 1만 건 넘어서

신생물, 순환계통, 근골격 질환 관련 임상연구가 가장 많아

- 투명한 임상 연구 문화 조성 위해 노력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국내에서 수행되는 임상 연구 정보 현황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임상연구정보서비스(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CRIS)연구 등록 건수가 1만 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kdca.go.kr)> 사업별 누리집> 임상연구정보서비스

 

  20102월부터 운영을 시작한 이래 국내 연구자들의 자발적인 임상 연구 등록 참여를 이끌어 내어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대표적인 임상 연구 정보 등록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임상시험등록플랫폼(ICTRP)에서 각 국에 지정한 17개의 국가 대표 등록시스템(Primary Registry) 중 임상연구정보서비스는 11번째로 지정된 국내 유일 국가 대표 등록시스템이며, 등록된 모든 임상 연구는 국제임상시험등록플랫폼으로 전송되어 국제적으로 공유되고 있다.

 

  연구자는 임상 연구를 등록함으로써 연구 수행 과정에서의 윤리성을 높이고 결과를 공개하여 일반 국민과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알 권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정책적으로는 연구대상자의 불필요한 위험 노출 및 연구비의 중복 투자 등최소화하기 위해서도 임상 연구 현황 및 결과에 대한 정보공유는 필수적이다.

 

  우리보다 앞서 임상 연구 등록시스템 운영을 시작한 미국(ClinicalTrials.gov, 2000~), 유럽(EudraCT, 2004~), 영국(ISRCTN, 2003~) 등 선진국 대비 공개하고 있는 임상 연구 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하지만 세계보건기구에서 요구하는 국제임상시험표준(International Standards for Clinical Trial Registries) 주요 항목* 기준은 위 4개국과 동일한 수준이며, 추가적인 상세 연구 결과 내용을 담고 있어 국내외 연구자와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임상 연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임상시험등록플랫폼(ICTRP)에서 지정한 고유 등록번호, 등록 날짜, 연구비 지원 출처 외 Participant Flow, Baseline Characteristics, Adverse Events, Outcome Measures 연구결과 항목 등 24개 필수항목

 

  20185월 보건복지부 고시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에 관한 기준시행에 따른 임상연구정보서비스 등록번호 제출 의무화 이후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등록 건수가 한 해 평균 1,087건으로 급증하여(붙임 1 참고), 올해 1월 기준, 임상연구정보서비스 누리집에 공개된 임상 연구 등록 수는 총 1110건을 기록했다.

 

  등록된 임상연구는 신생물 관련(, 백혈병) 1,713(16.9%)으로 가장 많았고, 순환계통 질환(고혈압, ·뇌혈관) 1,167(11.5%),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 1,071(10.6%), 소화계통의 질환 797(7.9%),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당뇨, 비만) 626(6.2%) 등의 순으로 높았다(붙임 2 참고).

등록된 연구 책임기관은 의료기관이 6,973(69.0%)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교 1,694(16.8%), 제약회사 608(6.0%) 순이었으며, 전체 연구 중 요양급여 적용을 받는 임상 연구는 총 1,581(21.1%)을 차지하였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국립보건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임상연구정보서비스는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임상 연구 정보를 국제적으로 공유하여, 국내 임상 연구 환경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해왔다.”,

 

  “1만 건의 등록 돌파를 계기로 임상 연구 등록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연구자들의 자발적인 임상연구 결과 공유 등 투명한 임상 연구 문화 조성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붙임>  1. 임상연구정보서비스 개요

             2. 임상연구정보서비스 주요 통계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제2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국립보건연구원 저작물은“공공누리 제2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