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2011년도-호흡기바이러스과] 소아중증하기도감염증에서 라이노바이러스 (hRV)의 발생양상 및 임상적, 면역학적 특성 분석
  • 부서호흡기바이러스과
  • 연구기관연세대학교
  • 연구자김동수
  • 관련 검색어소아, 라이노바이러스, 호흡기감염증
  • 수정일2021.08.02
  • 조회수443
사람라이노바이러스(hRV)는 감기의 가장 흔한 바이러스이다. 그러나, hRV의 임상양상은 단순히 감
기나 상기도 감염 뿐 아니라 하기도 감염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연구기간 내 확보된 총 642개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비는 375명대 267명이었고, 전체 환자의
연령은 평균 35개월, 호흡기바이러스가 발견된 경우는 전체의 327건으로 50.9% 양성율을 보였으며,
hRV 양성은 103개로 전체의 16.0%, 양성검체 중에서는 31.5%였다. hRV 감염은 평균 25.1개월에 발
생하여 비(非) hRV 환자의 평균36.9개월 연령에 비해 어린 나이에 감염되었다. 그리고, 천명의 빈도가
103명 중 36명 (35.0%)으로 539명 중 128명 (23.7%)의 다른 감염보다 hRV의 경우가 의미있게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혈액학적, 면역학적으로는 전반적으로 hRV의 특징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백혈구의
증감도 비슷하였으며, 임파구, 중성구 등의 변화도 큰 차이가 없었다. CRP와 ESR의 염증지표의 변화
도 hRV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RSV감염과 비교하였을 때, CRP, ESR은 hRV감염이 RSV보
다 더 높았다.
A형이 57건(55.9%), B형이 8건(7.8%), C형이 32건(31.4%)를 차지 하였다. hRV가 가장 많이 일으키
는 호흡기 질환은 폐렴이었으며, A형이 가장 많았다. 반면에 모세기관지염을 일으키는 경우는 C형이
가장 많았고, 천식의 경우엔 모두 C형이 일으키고 있었다. B형의 경우엔 가장 적은 빈도의 유전자 형
으로서, 후두염과 폐렴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hRV B형의 감염군이 다른 군에 비해 높은 연령층을 보
이고 있었다 hRV의 검출에서 정량적 분석을 한 결과, CT값이나 viral load에 따른 임상적 차이는 의
미있는 차이는 보이고 있지 않았다.
IFN-γ는 바이러스 load와 양의상관 관계를, 입원 후 발열, 연령과 상관관계가 의미있게 있었다. IL-10
은 hRV 감염에서 발열의 기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NF-α는 입원 후 발열과 총 병일과 상관관
계가 있었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