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2013년도-건강영양조사과] 국건영 제6기 1차년도(2013)진단의학검사 수행기관 질관리
  • 부서건강영양조사과
  • 연구기관인제대학교
  • 연구자황동희
  • 관련 검색어국민건강영양조사, 검사, 수행기관, 질 관리, 재현성, 검사실 간 비교, 정도관리, 정확도, 측정소급성
  • 수정일2021.08.02
  • 조회수457
국민건강영양조사 사업에서 고지혈증, 만성콩팥병, 당뇨병 등의 만성병 지표의 정확한 산출을 위해서
는 지표 산출의 근거 자료가 되는 진단의학검사 결과의 신뢰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검사
의 엄격한 질 관리가 요구되는데, 본 과제는 2008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진단의
학검사 수행기관인 네오딘의학연구소에 대해 현장실사, 내·외부정도관리, 검사실간 비교 및 측정소급
성 평가, 검체이중검사결과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검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2013년도
에는 2012년도 항목 중 철, 철결합능, 페리틴 3항목이 삭제되고, TSH, Free T4, TPOAb, 요오드(U)
의 갑상선검사 네 항목이 추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도까지의 질 관리 현황을 알아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장실사 및 내·외부정도관리 평가의 경우 대부분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검사실간 비교 평가는 새
로 도입된 TSH, Free T4, TPOAb, 요오드(U) 4항목과 HCV 항체 검사에 대해서 시행하였는데 모든
검사항목에서 상관성이 높고, 결과 차이가 허용기준 이내로 검사 결과 값의 비교 동등성
(equivalence)이 있었다. 검사 결과의 재현성 확인을 위한 이중검사 결과 모든 종목에서 상관계수 및
정밀도(CV%)는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이비교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간 대부분
의 종목에서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였지만 HDL cholesterol은 약간의 양의 bias를 보여,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참고기관을 통한 측정소급성 평가(creatinine, total cholesterol, HDL,
LDL, TG)에서는 HDL cholesterol, creatinine의 일부 측정값과 참고기관의 측정값이 허용범위 이상
의 차이를 보였으므로 지속적인 추이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포도당, 납, 수은, 카드뮴, Vit
D, Urine Creatinine에 대하여 표준물질 측정을 통해서 시행한 측정소급성 평가에서는 모두 허용범위
이내의 bias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있어서 어느 정도 질 관리 수준이 향상되어 관리되고 있
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측정소급성 검사 결과, HDL cholesterol, creatinine 등 일부 항목에서 발견
된 bias는 질관리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국내 표준검사실의 국제인증을 위한 노력과 시약회사의 협
력을 통하여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질 관리가 필요하겠고, 지
속적인 정확도 혹은 검사의 소급성 확보를 위해서는 참고기관과의 비교나 표준물질 측정을 통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