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인구의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사망률은 낮고 유
병률이 높은 골관절염은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부담을 높인
다는 점에서 만성질환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전국적인 대
표성 있는 역학조사가 없었고 정확한 유병상태를 알 수 없어서 보건계획 수립에 기
본적인 자료가 없는 것이 현실이기에 2009년부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골관절염검사
를 추가 시행하였다. 따라서 본 사업은 골관절염검사 전문조사원의 교육과 질 관리를
통하여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골관절염의 성별·연령별 유병률을 산출하기 위해서 시
행되었다.
골관절염검사가 시작되기 전 2013년 1월에 전국 4개 권역을 담당할 4명의 골관절염
검사 조사원을 대상으로 이동검진 차량에 장착된 디지털영상촬영장치 사용방법과 함
께 골관절영상 촬영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고 현장 조사에 임하도록 하였다. 또한 연
구원의 현장방문 정도관리를 통해 조사원들의 골관절영상 촬영 능력을 평가하고 문
제점에 대해 재교육을 하였다.
골관절염검사 및 판독시스템은 4개 권역 현장에서 촬영한 골관절영상을 조사 후 웹
하드를 통해 명단과 함께 파일로 올리고 이를 영상의학 전문의가 받아내리기를 하여
Kellgren-Lawrence grade를 기준으로 판독한 후 책임연구자에게 보내면 검독하여
최종등급을 질병관리본부에 보고하도록 하였고, 신뢰도 평가를 위해 10% 임의 추출
한 대상자 영상에 대해 제2 판독자와 원 판독자의 판독을 다시 받아서 판독자간 및
판독자내 신뢰도를 구하였다.
방사선사들의 골관절영상 품질 평가점수는 88.7점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1주
부터 36주까지 36주간 144개 구역 50세 이상 성인 2109명의 골관절염 판독을 수행
한 전문의의 골관절염 진단 신뢰도를 kappa 계수로 평가한 결과 판독자간 신뢰도는
엉덩관절 0.3193, 무릎관절 0.6842, 요추관절 0.3084 로 중간 정도의 신뢰도를 보여
주었다. 판독자내 신뢰도는 kappa계수가 엉덩관절 1.0000, 무릎관절 0.8728, 요추관
절 0.8187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본 사업은 전 국가적인 대단위 골관절염 조사사업으로서 신뢰도 높은 증상 및 영상
의학적 유병률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보건정책수립에 중요한 자료
가 된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질관리사업을 통해 골관절염검사 전문조사원의 질향상
을 유지하고 영상판독의 높은 질 유지를 통해 골관절염 관련 지표의 높은 정확도와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