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제6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부문의 조사 과정 및 자
료 질 관리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자료의 신뢰도와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고, 새롭
게 도입이 고려되고 있는 전자조사 시스템을 이용한 사전조사를 통해 전자조사표
도입 가능성을 평가하고 보완사항을 점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따라 제6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영양조사부문의 질 관리를 위해서는 현장
정도 관리 체크리스트에 근거하여 현장평가가 실시되었으며, 제5기 3차년도(2012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부문 결과인 식품섭취량 자료 입력내용 등에 대하여 조사항목의 기
입 누락이나 착오, 식품 및 음식 코드의 확인 등의 검토를 거쳐 데이터 셋을 수정/보완함
으로써,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을 산출할 수 있는 통계처리용 데이터 셋의 구축을 지원하
였다.
또한 기 개발된 영양조사 전자조사표를 이용한 조사 수행을 위하여 조사원을 선발하고
집중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기존의 종이 조사표 기반 조사(PAPI)와 전자 조사표를 이용한
사전조사(CAPI) 및 현장 질 관리를 실시하였다. 전국 12개 조사구에서 두 가지 방법의 조
사에 모두 참여한 대상자는 총 202명으로 평균연령은 46.6세였다. 식생활 조사, 식품섭취
빈도조사, 식품안정성 조사 및 식품섭취조사까지 모든 결과에서 두 조사방법 간의 유의적
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조사 소요시간은 식품섭취조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CAPI의
경우에 PAPI 보다 짧았다. 비록 CAPI 방법에서 식품섭취조사에 더 긴 시간이 소요되긴
하나, PAPI 방법의 경우엔 추후 자료입력 및 코드부여 단계를 거쳐야 CAPI 방법의 1차
자료에 상응하는 자료가 생성된다는 점에서 실제적으로 전체적인 조사시간은 CAPI의 경
우에 더 짧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수행단계에서 CAPI 시스템의 결함이나
오류 등을 찾아내고, 전자조사 시스템의 보완사항을 점검하여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향
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자조사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귀중한 정보를 생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영양조사부문에의 전자 조사표 도입 가능성을 판단
할 근거가 될 것이므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조사의 수행과 영양조사부문 결과의 신
뢰도 및 활용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