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2013년도-건강영양조사과]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 및 영양성분 섭취량 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지방산 데이터베이스 구축
  • 부서건강영양조사과
  • 연구기관한국영양학회
  • 연구자문현경
  • 관련 검색어영양성분DB, 영양성분DB구성틀, 영양성분DB구성방법, 지방산 DB
  • 수정일2021.08.02
  • 조회수1000
연구목적 :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섭취량 분석이 가능한 영양성분은 15종으로, 한국인영양섭취기준
에서 정한 30여종의 영양소 섭취량 분석이 불가능하다. 특히 우리 국민의 건강과 관련이
높은 지방산 및 비타민‧무기질 성분의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중심으
로 섭취량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DB) 확장 및 DB 구축이 필요하여 영양성분 DB 설
계와 DB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지방산 DB를 구축해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처리 및
관련 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
1세부. 양성분 DB 설계와 DB 관리 프로그램 개발
영양성분 DB를 Level 0, Level 1, Level 2, Level 3 로 Level을 정하고 영양성분 DB도
DB 1과 DB 2로 다원화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구성하였다. Food Code 또한 다원화하여
Food Code 1, Food Code 2, Food Code 3로 구분하였다. 여기에 연결된 부속 DB로
Retention factor DB와 Yield factor DB를 생성하여 서로 연관되어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
다. DB 구성을 위한 자료 수집 원칙, 계산값 및 대체값 수집 원칙을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입력, 자료의 사용 여부 조정, 출력 영양성분 종류 선택 등의 기능 구현 가능한 DB 관
리 전산프로그램(프로토 타입) 개발하였다.
2세부. 지방산 DB 구축 및 유효성 평가
국내 국가기관에서 발간된 지방산 성분표 3종, 국외 국기기관에서 발간된 지방산 성분표
2종, 학술지 발표자료 등을 수집하여 level 0 DB를 구축하였으며, 자료원의 적합도 등급을
평가한 결과 국내 자료는 4등급, 국외 국가기관자료는 3등급 수준이었다. Level 1 DB는 수
집된 level 0 DB의 지방산 프로화일을 맞추어 하나의 DB로 통합한 형태이며,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다가불포화지방산(n-3계, n-6계, n-9계) 함량과 개별 지방산으로는
C14:0, C16:0, C18:0, C18:1, C18:2 n-6, C18:3n-3(알파), C20:5 n-3(EPA), C22:6 n-3(DHA)
의 식품별 함량을 포함하고 있다. Level 2 DB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이용되는 5144종의
식품에 대해 level 1 DB의 자료를 검토하여 사용우선순위와 적합도 등급에 따라 식품별 1
개 자료의 성분을 조성을 선택하고 성분자료가 미비한 경우 계산값 및 대체값을 적용하여
DB 구축하였으며, Level 3 DB는 level 2 DB에서 2011년 조사 자료에 사용가능하도록 구축
되었다.
구축된 DB를 이용하여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2010, 2011년도에 조사된 식품섭취
량조사 자료 이용하여 총지방산 섭취량을 추정하였을 때 총지방산 섭취량은 38.3g으로 지
방섭취량 44.4 g과 비교할 때 86.4% 수준( 남자 85.5%, 여자 87.6%)이었다.
활용방안 :
개발된 DB 관리프로그램과 지방산 DB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처리와 관련연구에 기
여할 것으로 사료되며, 지방산 섭취량 파악을 통해 관련 연구와 정책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며, 정확한 섭취량 추정을 위해 구축된 DB의 지속적인 보완과 이를 위한 기본 성분
자료의 양적 질적 향상 및 DB구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의 축적이 요구된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