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HDL-C(콜레스테롤) 결과 값에 대한 원자료 분석
과 연도별 측정소급성(정확도) 추이 분석을 시행하여, 2008년부터 2011년 기간 동안
의 국민건강영양조사 HDL-C 결과 값이 미국 CDC에서 표준검사법으로 측정한 참
값 대비 양의 bias(+5.3%~9.2%)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고, 2012년의 경우 이러한 양
의 bias 정도가 감소한(+2.5~3.5%) 것을 확인하였음. 따라서 각 연도별로 검사수행기
관의 검사 결과 일관성 유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음.
검사수행기관의 HDL-C 결과 일관성 유지 여부 확인을 위하여 각 연도별로 보관된
검체 (160검체/년) 재검사 평가를 시행하였음.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의 경
우 원자료 값과 재검사 값의 차이는 0.84 mg/dL (2.1%) 미만을 유지하여 유의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2012년의 경우 원자료 값과 재검사 값의 차이가 2.73
mg/dL (7.5%)를 보여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음. 따라서 2008년부터 2011년
기간 동안 시행한 HDL-C 결과 값에 대한 보정 방법과 2012년에 시행한 HDL-C 결
과 값 보정 방법은 두 구간을 구분하여 각각 보정 후 통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였음.
2009년 9월 미국 CDC 표준검사실과의 비교 평가를 통하여 산출한 전환식에 대한
타당성 평가를 통하여 2008년부터 2011년 기간 동안에 시행한 검사 결과 값 보정을
위한 전환식을 산출하였음. 또한 2012년 6월 미국 CDC 표준검사실과의 비교 평가
자료를 토대로 2012년 HDL-C 결과 값 보정을 위한 전환식을 산출하였음.
* 2009년 전환식과 2012년 전환식은 아래와 같음.
▶ 2009년 전환식: Corrected value = 0.872 × KNHANES 결과 + 2.460
▶ 2012년 전환식: Corrected value = 0.952 × KNHANES 결과 + 1.096
2009년 전환식을 사용하여 2008년부터 2011년 기간 동안에 시행한 원자료 값 보정
시 연도별 HDL-C 결과 값의 평균은 4.03-4.28 mg/dL (8.6-8.8%) 감소하였고, 2012년
전환식을 사용하여 2012년에 시행한 원자료 값 보정 시 HDL-C 결과 값의 평균은
1.36mg/dL (2.7%) 감소하였음. 2008년-2012년 기간 동안의 원자료의 연도별 HDL-C
값의 평균은 50.7, 51.3, 52.4, 52.7, 51.2 mg/dL 였으나, 보정 후 각각 46.7, 47.2, 48.2,
48.4, 49.8 mg/dL을 보였으며, 전환식을 사용한 보정 시 연도별 HDL-C 결과 값 통
합 및 추이 비교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됨.
HDL-C 통합 결과를 바탕으로 산출한 저HDL-C 혈증 유병률은 2008년 31.9%에서
2012년 20.2%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임. 그러나 저HDL-C 혈증 유병률 결
정기준인 40mg/dL에서 미국 NCEP에서 제시하는 inaccuracy 허용치인 2 mg/dL(40
mg/dL 기준) 의 변동을 가정할 때, 저HDL-C 혈증 유병률은 5-7%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유병률 결과 해석시 이러한 오차범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미국
NHANES의 경우 최근 10년간 저HDL-C 혈증 유병률이 최저 21.3%(2005-2006), 최대
38.5%(1999-2000)의 큰 변동성을 보이나, 같은 기간 동안 metabolic syndrome 유병률
에는 큰 변화가 없어(23~25%) 저HDL-C 혈증 유병률의 변동성이 metabolic
syndrome 유병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