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전) 해외발생 감염병 모니터링 제도 개선안 마련 기초자료 생성을 통하여 국민 건강 보호 및
해외발생유입 감염병에 대한 선진화 대응방안마련
2. (필요성) 해외발생유입 감염병환자의 유입 예방 및 차단을 위해 다각화된 모니터 방안을 마련하여
대응 체계 구축 필요
3. (추진전략) Active Quarantine, Early and real-time Surveillance & Alert System, Development,
Global
가. Active Quarantine(적극적인 검역) 적극적인 검역환경 추진
(1) 해외발생 감염병에 대해서 실시간 및 조기 정보 수집 및 대응 전략으로 질병관리본부 내
해외발생 감염병 발생 감시, 탐지 및 대응 조직 필요
(2) Early and real-time Surveillance & Alert System(실시간 감시 & 조기 경보시스템)
(가) 중요한 해외발생 감염병 발생국가(지역) 인적자원 파견, 협력체계 구축
(나) 국제적으로 발생하는 감염병에 대해서 조기, 실시간 감시 및 경보 시스템 구축
나. Development(개발)
(1) 주요한 감염병 발생 국가(지역)을 타깃으로 인적 & 물적 인프라 구축
다. Global(글로벌) 주요 감염병에 대한 국제사회(국제적 대응) 리더십 추구
(1) 국내기업이 개발한 의료기술(진단, 백신 및 의료기술) 및 개선된 적응(대응) 기술 타 국가에
제시 및 수출로 국가 위상 높임
(2) 개도국에 국내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국가 브랜드 제고 및 국제적인 리더십강화 및 국제보건
에 기여
(3) 국내기업 연계 Oversea Development Assistance(ODA) 체계 개발 및 구축
(가) 개도국: 감염병에 대한 예방, 관리, 치료 및 R&D 인프라 열악
(나) 국내기업 글로벌화를 위해 개도국(동남아시아, 아프리카등)에 친화적이고 좋은 이미지
구축이 중요
(다) 정부 관련기관(KOICA) 및 국내관련 기업이 협력 및 공동으로 개도국에서 공동사업 전개
4. (기대효과)
가. 주요 해외발생 감염병에 대해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응
나. 주요 해외발생 감염병 대응을 위한 인적 및 물적 인프라 구축
다. 국내 의료 산업 개도국에 보급을 위해서 관련 정부 기관(KOICA) 및 국내기업과 연계를 통한
ODA체계 개발 및 구축
(1) 국내기업: 개도국에 국내의료산업(진단, 백신 및 의료기술등) 지원으로 기업 이미지재고
(2) 국내(아)열대 감염병전문인력: 국내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아)열대 감염병 연구기회 활용, 경
험 축척 및 전문 인력 생산
(3) 개도국 현지: 국내의 선진화된 기술 전파 및 협력 사업으로 현지 전문 인력 개발, 공증보건
향상 및 의료 인프라 제고
(가) 개도국: 협력체계 구축(예, 학술, 연구 교류 및 (아)열대의학 연구기지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