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건강조사 참여 인력에 대한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교육 자료
를 개발함으로서 궁극적으로는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통해 생산된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도
를 높이는데 있다. 어떠한 사업이든 사업을 담당할 인력에 대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정확한 조사 수행과 결과를 요구하기 때문에 참여 인력의 교육
과정에 대한 표준화 요구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 하고 있는 책임대학교 담당자, 보건소 지역
사회건강조사 담당자와 전국에서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하는 조사원이며, 2013년 현재
담당자 현황은 책임대학교 담당자 109명, 보건소 담당자 264명, 조사원 1390명으로 총
1760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수행한 방법은 지역사회건강조사 담당자의 기초 자격, 교육 이수정도,
조사수행 경험 및 조사에 대한 K.A.P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육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책임대학교 담당자와 보건소 담당자는 신규와 경력자로 분류
하여 교육 효과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사전 설문을 분리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한
참여 인력은 책임대학교 기존 담당자 94명 중 74명(78.7%), 책임대학교 신규 담당자 28명
중 27명(96.4%), 보건소 기존 담당자 380명 중 278명(73.1%), 보건소 신규 담당자 118명
중 99명(89.3%)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조사원은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사업 시기로 인하여
현재까지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6개 권역, 356명의 조사원 대표로 선정하여 조사원
의 교육 전, 교육 후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초로 조사원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설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책임대학교 담당자, 보건소 담당자및 조사운의 표준 교육과정
개발을 개발하였으며, 책임대학교 담당자는 신규자, 경력자를 구분하여 교육과정을 개발
하였고 보건소 담당자 교과과정은 신규자, 경력자 구분 없이 통합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
하였다. 조사원의 표준 교육과정은 신규와 경력자를 통합하여 하나의 통일된 교과과정을
개발 하였다. 교육 자료의 개발로는 현재의 조사 지침서가 크고 무거워 현장에서의 활용
도가 낮음으로, 지침서 대용으로 활용 할 수 있는 간편 지침서(포켓북)을 개발하여, 조사
원들이 실제 조사 수행 시 소지하고 다니며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조사원 교육
용 동영상을 제작하여 조사원 교육 시 활용함으로써 조사 진행에 대한 이해도, 조사의 신
뢰도 및 타당도를 높이고 대체가구률 최소화 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자료는
전문가 자문회의와 Workshop을 거쳐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기대효과로는 표준화된 교과과정을 전국적으로 반영 운영할 경우 조사에 대한 담당자
들의 자신감 향상과 신뢰도 및 타당도 높은 조사 자료의 산출로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을 통한 지역단위 보건사업의 기획 및 평가를 통한 지역보건사업의 효과와 효율
향상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