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A형간염 성인(20-40대) 예방접종 도입 타당성 분석 및 전략 수립
  • 부서질병관리본부
  • 연구기관고려대학교
  • 연구자안형식
  • 관련 검색어A형 간염
  • 수정일2021.08.02
  • 조회수793
A형 간염 백신을 20~40대의 성인에게 국가 예방접종 사업의 일환으로서의 도입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질병 부담 및 비용-효과 분석연구가 필요함. 이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가 수행됨. A형 간염 백신의 효과 및 비용-효과 분석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음. 또한, A형 간염의 발생률, 유병률, 중증도 등 역학적 특성과 질병 부담을 분석하였음. A형 간염 백신의 비용-효과 분석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하여 국가 예방접종 도입 시나리오에 따른 비용-효과를 분석하였음.

국외 A형 간염 백신의 효과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임상적으로나 혈청학적으로나 A형 간염 백신(사균백신)은 감염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임. 또한, 국외 비용-효과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비용-효과에 대한 여부는 연구별로 차이를 보였으나 집단면역보다는 풍토성 지역 주민, 만성간염 환자 등 고위험군에게 선택적으로 접종하는 전략이 더욱 비용-효과적이라는 것이 나타남.

전수감시체계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A형 간염의 발생률을 조사하였음. A형 간염 합병증 결과지표는 전격성 간염, 간 이식 수술, 사망 발생으로 정하였음. 2002년부터 2019년까지 A형 간염 감염 발생 건수는 157,143건, A형 간염 진단 후 1년 이내 간 이식 건수는 134건, 사망 건수는 483건으로 조사됨. 발생률은 연도별로 증가 추이를 보였으며, 연령별 분포로는 20~40대가 높은 발생률을 보였음. 간 이식으로의 진행률을 봤을 때, 진단 후 1년 이내 20~40대의 간 이식 건수가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음. 모든 연령에서 A형 간염에 의한 사망률은 평균 18.8%이었으나, 만성간염 등 다른 간 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A형 간염에 의한 사망률보다 높게 조사되었음. A형 간염 환자의 1인당 평균 의료비용은1,446,000원으로, 외래비용은 107,000원, 입원비용은 2,251,000원, 간 이식 비용은 17,894,000원으로 산출되었음.
A형 간염 백신의 비용-효과 분석의 인구집단은 A형 간염 항체 보유율이 낮은 20~49세로 A형 간염 백신 접종자와 비접종자를 비교하여 사회적 관점에서 결과를 산출하였음. 임계값은 5,000만원으로 설정하였음. 마콥모형을 분석모형으로 설계하여 분석하였고, 효용은 생존년수(LY)와 질보정생존년수(QALY)로 설정하여 점증적 비용효과비를 산출하였음. 30년 추정의 비용-효과비를 산출한 결과, A형 간염 백신 접종사업 실행 시, 총 97,529건의 사례 수를 예방하며, 비용/사례는 7,681,571원, 총 293건의 사망 건수를 예방하며 비용/사망은 2,560,523,636원의 비용이 소요됨. 또한, 총 8,778년의 LY을 얻고, 1년의 LY당 85,350,788원, 총 77,701QALY를 얻으며, 비용/QALY는 65,685,330원으로 산출됨. 설정한 임계값을 기준하여 20~40대 일반 성인 인구에게의 A형 간염 백신 접종사업은 비용-효과적이지 않은 정책인 것 으로 나타났으나, 고위험군에게 선택적 예방접종을 시행하는 전략은 비용-효과적으로 나타남.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국립보건연구원 저작물은“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