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인체자원 관리시설 증축방안 연구
  • 부서바이오뱅크과
  • 연구기관가천대학교
  • 연구자서원식
  • 관련 검색어인체자원은행
  • 수정일2021.08.02
  • 조회수677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의 역할 강화에 따른 인체자원 수집·관리 규모의 확대, 임상역학, 유전체·오믹스 정보 연계 확대 등 향후 중앙은행의 원활한 역할 수행을 위한 바이오뱅킹 체계 고도화 및 시설 확충이필요한 시점임.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에서 새로이 수집되는 100만 명 규모의 인체유래물 보관 등 중장기적 관점에서 중앙은행의 증축방안을 마련하여, 안정적 인체자원 관리를 위한 바이오뱅킹 시설의 건립방안을 제시하는 것임.

이 연구는 크게 세 분야로 구성되어 있음. 첫째, 중앙은행의 시설증축의 타당성을 분석함. 이를 위해 국내외 바이오뱅크 운영 장비 및 시설 현황을 조사하고, 기존 시설 현장조사 및 바이오뱅크 관계자 요구도를 분석함. 이를 기반으로 중앙은행에서 계획 중인 중장기적인 인체자원 수집계획에 따른 증축 기본방향 및 추진체계를 수립함.

둘째, 중앙은행 시설증축 기본전략을 수립함. 이를 위해 입지여건, 자연환경분석, 계획 대상지 여건, 관련법규 검토를 포함한 건립부지 특성을 분석함. 아울러 기존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과 연계 운영체계, 증축시설에 배치될 주요 바이오뱅크 자동화 설비/장비 등에 대한 기본 검토와 빌트인 장비 구축계획 제시, 증축시설의 기능 및 구성계획에 대한 건립규모를 산정함.

셋째, 시설증축에 필요한 기본계획을 수립함(배치계획, 건축계획, 구조계획, 기계설비, 전기설비, 시설관리운영, 친환경계획, 장애인시설계획, 공사관리 등). 구체적인 계획은 본 설계 과업으로 진행하고, 이 연구에서는 기존 건물의 디자인과 기능적 연계를 고려한 배치계획과 건축계획을 위주로 제시함. 이 과정에서 각 분야 전문가 자문을 구하는 과정을 거침. 마지막으로 총 건축비를 산정하고 증축시설의 정책적,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함. 분석결과 증축시설은 정책적,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됨. 증축 시설의 편익/비용비(B/C)는 3.08임.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의 시설증축은 역할 수행에 필요한 물리적 공간 및 시설 확보로 원활한 업무 수행을 가능하게 하고, 인체자원의 수집·저장(repository)·분양에서 보다 다양한 기능 수행을 통해 국가 인체자원 관리 역량 및 수준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국립보건연구원 저작물은“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