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노인고혈압에서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사망률 감소를 위한 새로운 근거창출 및 중재법 개발
  • 부서심혈관질환과
  • 연구기관충북대학교병원
  • 연구자이주희
  • 관련 검색어고혈압
  • 수정일2021.08.02
  • 조회수1149
¡ 고혈압은 65세 이상 노인에서 가장 흔한 만성질환이며, 심근경색, 뇌졸중, 심부전등의 합병증을 유발하여 이로 인한 삶의 질 저하, 장애, 추가적인 의료비 상승 및

사망률 증가에 기여함. ¡ 국내의 급속한 인구고령화로 인해 노인고혈압 환자의 질병부담과 진료비 등 사회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어 노인고혈압 환자의 적정관리를 위한 진료지침 근거마련이 필요함. ¡ 고혈압에 의한 표적장기손상(HMOD), 심뇌혈관질환(CVD) 발생 및 사망 예측은 진료실 혈압보다 활동 중 혈압과 가정혈압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혈압의 일중변동을 파악하고 ‘진료실 밖 혈압(out-of-office BP)’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특히 노인고혈압은 혈관 노화로 인하여 맥압이 커지고, 혈압의 일중변동(diurnal

variation)이 더 크며, 생리학적 야간 혈압하강(nocturnal dipping)이 상실되어 야간고혈압의 비중이 높음. 야간고혈압은 임상예후 역시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새로운 치료 타겟으로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 ¡ 높은 노인고혈압 인구비율과 노인고혈압이 갖는 특징을 고려하였을 때 노인 환자
의 적정관리를 위하여 야간고혈압이 새로운 치료 타겟으로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국립보건연구원 저작물은“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nnect